【 파이썬 】#01 파이썬 시작하기

Language/파이썬 Python 2018. 4. 19. 10:43 Posted by 엑소더스팩토리
반응형

【 파이썬 】 #01 파이썬 시작하기 (with Raspbian)




파이썬의 특징

파이썬은 네델란드 개발자인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만든 언어이다. 1990년도에 파이썬 첫 버전이 공개되었다.

프로그래밍 비전공자 혹은 입문자들이 쉽고 간결하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머신러닝, 그래픽, 개발등 여러 업계에서 선호하는 언어로 급성장하고 있는 언어이다.

파이썬은 구글에서 가장 많이 애용하는 개발언어가 되었으며 미항공우주국(NASA)은 물론 세계 유명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두루 애용하는 개발언어로 자리 잡았다


2016년도 조사에서 파이썬은 인기언어인 자바를 제치고 인기 1순위의 언어로 선정 된 바 있다. 




파이썬 시작하기 




【 실행 순서 

OS 메뉴  개발  Python3 (IDLE)





▶ 명령어 실습 (명령어 입력하기)


파이썬 쉘 (Shell) 화면에서 "Hello world !" 를 출력해본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print("Hello world")    


↓ 실행 결과



▶ 수식 계산 실습 


파이썬은 쉘 (Shell) 화면에서 계산기 처럼 수식 계산을 바로 할 수 있다.


실행은 아래와 같다


5*2+10/2


↓ 실행 결과



▶ 변수 생성하고 사용하기

파이썬은 쉘 (Shell)에서 바로 변수를 선언 및 초기 값을 넣어 줄 수 있으며 , 변수 선언과 동시에 수식 계산을 할 수 있다. 


실행은 아래와 같다


a = 2 + 3

b = 3 + 4 

a + b 


↓ 실행 결과



c = a + b 

 c                   //  'c'  값을 출력하라~ 


↓ 실행 결과



▶ 수학 함수 사용하기

파이썬에서 특정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mport 명령어를 이용하여 삽입해주어야 한다. 


아래는 수학 함수인 'math'를 삽입한 모습이다.

또한, 'math' 함수에 포함되어 있는 제곱근(sqrt(2)) 을 구해보자 


실행 명령은 아래와 같다

import math

math.sqrt(2)



↓ 실행 결과



다음 파이썬 글에서는 별도의 창을 띄워 이미지를 그려주는 함수에 대해 다뤄보자.


반응형

【 C 언어 】 #34 변수의 메모리 번지 이해하기

Language/C & C++ 2018. 4. 17. 10:44 Posted by 엑소더스팩토리
반응형

【 C 언어 】 #34 변수의 메모리 번지(주소) 이해하기



 변수가 정의 될 때는 변수 값을 저장할 메모리 공간(정수형 변수는 4바이트)을 확보하고 그 주소를 지정(기억)하게 된다.  프로그래밍이 처리 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번지를 이용해서 값을 불러오거나 처리할 수 있게 된다. 


▶ 문제  : 변수 i =0 와 j =1 를 선언하고 초기값 0과 1을 준다. 각 변수가 지정된 메모리 번지를 출력하라.


▶ 포인트 

  printf() 함수를 이용해서 메모리 번지를 출력 할 수 있으며, (정수형)값을 나타내는 %d 대신 %p 를 사용하며, 변수의 메모리 번지를 넘겨주기 위한 '번지 지정 연산자(&)'를 사용하면 번지를 출력할 수 있다. 



▶ 프로그램 : 




▶ 실행 결과 :



▶ 보충설명 :


j는 0062FE48~0062FE4B ,  4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으로 지정 되어 있으며 시작번지가 0062FE48 이다.  여기에 데이터 1의 값이 저장되어 있다.


i는 0062FE4C~0062FE4F ,  4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으로 지정 되어 있으며 시작번지가 0062FE4C 이다.  여기에 데이터 0의 값이 저장되어 있다.


아래 변수와 메모리와의 관계 도표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



▶ 소스코드 다운로드 :  



반응형
반응형

【 아두이노 기초 】 #05 LED ON / OFF 제어 실험하기

 

 아두이노에 LED와 버튼 스위치(PB SW)를 연결하여 스위치를 통해 LED On / Off 제어하는 실험이다.

 

▶ 실물 도면 :

 

 

 

 

▶ 부대품 목록 : 아두이노 보드, 브레드 보드

▶ 부품 목록 : LED 1 개,  PB SW 1개 ,  저항 10KΩ

 

▶ 실제 연결 이미지 :

 

 

▶ 실행(동작) 영상 :

 

Button.ino
다운로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