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 언어 】#23 캐스트 연산자 이해하기

Language/C & C++ 2018. 3. 13. 20:10 Posted by 엑소더스팩토리
반응형

※  23 캐스트 연산자 이해하기 


  정수형을 연산하다보면 실수 값이 나오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 데이터 형을 변환해주는 연산자를 사용하면 소숫점 이하 값을 문제 없이 출력할 수 있다.


▶ 문제 : a = 3,  b = 2 를 정수형으로 선언 하고 ,  a 나누기 b 를 수행한 결과 값을 나타 낸후, 캐스트 연산자(double)를 사용하여 소숫점 이하까지 정확히 출력하도록 하라. 


▶ 포인트 


a / b 를 수행하면. 1.5가 출력되어야 하지만, 1이 출력 되다.  캐스트 연산자를 사용하여 소수점 이하까지 모두 출력하도록 해보자. 



▶ 프로그램 : 





▶ 실행 결과 :


▶ 소스코드 다운로드 :  

23 캐스트 연산자 사용하기.cpp




반응형

【 C 언어 】#22 비트 연산자 이해하기

Language/C & C++ 2018. 3. 9. 16:10 Posted by 엑소더스팩토리
반응형

※  22 비트 연산자 이해하기 ( |, &, ~ , ^  , 《, 》 )


  비트 연산자는 2진수를 연산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트 연산자를 이용하여 쉽게 2진수 값(비트)를 바꿀 수 있다. 이를 위해 2진수 , 8진수, 10진수, 16진수 등의 개념에 대해 함께 이해를 하여야 한다.


▶ 문제 : ch= 255, mask =0x7F 값을 가지고 비트 연산자인 &, ~, ^, 》, 《 들을 사용하여 연산된 결과 값을 출력하라. 


▶ 포인트 


10진수와 2진수, 8진수, 16진수와의 관계 


  십진수

 2진수 

 8진수 

 16진수 

 0

  0000 

000 

 1

 0001

001

 2

 0010

002 

 3

 0011

003 

 4

 0100

004 

 5

 0101

005 

 6

 0110

006 

 7

 0111

007 

 8

 1000

010 

 9

 1001

011 

 10

 1010

012 

 11

 1011

013 

 12

 1100

014 

 13

 1101

015 

 14

 1110

016

 15

 1111

017 

 16

10000

020 

10 


 & (AND 연산자) 는 논리곱으로서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 값이 1이 되고 나머지는 0이 된다.  ( 특정 비트를 0으로 만들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NOT 연산자) 는 부정으로서 0을 1로 , 1을 0으로 논리 값을 반전 시킨다.

^ (베타OR) 는 두 개의 비트가 서로 다른 값일 때만 1이 되고 나머지의 경우에는 모두 0이 된다.  ( ch ^ ch : 같은 값을 ^하기 때문에 무조건 0이 됨으로 ch 값을 0으로 만들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 》 (비트 이동) 는 1비트씩 오른쪽으로 이동 한다. 왼쪽 새로 채워지는 비트는 0이 된다.

 《 (비트 이동) 는 1비트씩 왼쪽으로 이동 한다. 오른쪽 새로 채워지는 비트는 0이 된다. 


▶ 프로그램 : 





▶ 실행 결과 :


▶ 소스코드 다운로드 :  

 21 논리 연산자 이해하기.cpp


반응형
반응형

【 라즈베리파이 】 #02 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 셋업


•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 여러 가지 운영체제 설치 가능(Windows, MAC OS, 안드로이드, 리눅스, 라즈비안)./라즈베리파이에 최적화 된 리눅스 기반의 라즈비안 추천

 


  만약 라즈비안을 선택하고 나면 아래 이미지가 보일 것이다.


 운영체제를 가볍게 사용하거나 간단한 용도로 사용할 때는 우측의 LITE 버전을 다운 받어 설치하면 되고, 그 외 일반적인 경우에는 DESKTOP 버전을 사용하면 무난하게 쓸 수 있다.


• 라즈비안 데스크탑 버전 설치 예
•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면 약 4Gb넘는 이미지 파일 나타난다.



• 이미지 파일을 SD Card에 심어주는 Win32DiskImager를 다운받아 SD 카드에 위 다운받아 압축을 푼 이미지를 설치한다.
• 리눅스 버전을 설치한 적 있는 SD 카드의 경우 윈도우에서 포맷되지 않으므로 SD Card Formatter 를 다운받아 포맷한다



• Win32 Disk Imager 를 이용하면 이미지 파일을 SD Card에 바로 부팅이 될 수 있는 형태로 Write 시켜 준다.

• 또한 잘 셋팅된 운영체제 그대로 백업 할 때 Read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로 만들어 둘 수 있다.


※ 마이크로 SD 카드로 Writing이 완료 되면 라즈비안이 설치가 손 쉽게 된 것이다. 

 다음 글에서는 라즈비안 OS 부팅편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