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 언어 】#19 증감연산자 이해하기 (++ / --)

Language/C & C++ 2018. 2. 19. 14:24 Posted by 엑소더스팩토리
반응형

※  19 증감연산자 이해하기 (++ / --)


  증감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1증가(++) 시키거나 1감소(--) 시키는 연산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x++ 는 x = x +1 과 같고,   y-- 는 y = y - 1 과 같다. 

단, x++ 과 ++x는 다름에 주의 할 것(++x는 x의 값을 먼저 1증가 시킨 후 수식에 사용된다는 의미이다)


▶ 문제 증감 연산자 ++, -- 를 출력해보라. 


▶ 포인트 

for 문 없이 x++ 를 연속 두 번 출력해서 증감 되는지 확인하고, ++x와도 비교 출력 해본다.   이후 x-- 도 같은 방식으로 print 해 본다. 


▶ 프로그램 : 



▶ 실행 결과 :



▶ 소스코드 다운로드 :  

18 증감 연산자 이해하기.cpp



반응형

【 C 언어 】#18 문자열형 상수 이해하기 (char)

Language/C & C++ 2018. 2. 14. 11:07 Posted by 엑소더스팩토리
반응형

※  18 문자열형 상수 이해하기(char)


  문자열형 상수 또한 다른 상수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내에서 변동이 되어서는 안 되는 문자를 정의 할 때 사용한다. 


▶ 문제 "환영합니다" 등의 문자열을 넣어,  #define, const char* ,  두가지 형태로 선언하라.


▶ 포인트 

문자열형 상수로 선언된 const char "Myhome"의 값은 이하 프로그램 내에서는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 프로그램 : 



  괄호 안의 값이 참(1)이면 아래 if문을 실행, 거짓(0)이면 else문을 실행 시킨다.



▶ 실행 결과 :



▶ 소스코드 다운로드 :  

18 문자열형 상수 이해하기(char).cpp



반응형

【 C 언어 】#17 논리형 상수 이해하기 (bool)

Language/C & C++ 2018. 2. 8. 10:53 Posted by 엑소더스팩토리
반응형

※  17 논리형 상수 이해하기 (bool)


  논리형 변수는 논리형 상수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값이다. 보통 참값은 TRUE, 거짓은 FALSE 형태로 사용되며, TRUE는 1,  FALSE는 0으로 정의 하여 상 


▶ 문제 : 논리형 상수 TRUE를 1로 FALSE를 0으로 정의 하고, if 문으로 참, 거짓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 포인트 

'#define' 문으로 TRUE값을 1,  FALSE 값을 0으로 정의 한다. 


▶ 프로그램 : 


  괄호 안의 값이 참(1)이면 아래 if문을 실행, 거짓(0)이면 else문을 실행 시킨다.



▶ 실행 결과 :


▶ 소스코드 다운로드 :  

17 논리형 상수 이해하기(bool).cpp



반응형